AI 스타트업 누스 리서치, 제한 없는 챗봇 ‘누스 챗’ 출시 - 헤르메스 기반의 혁신적 서비스
최근 AI 스타트업 누스 리서치가 콘텐츠 제한을 최소화한 챗봇 서비스, ‘누스 챗(Nous Chat)’을 출시하여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번 챗봇은 오픈 소스 AI 모델 ‘헤르메스(Herme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사용자에게 자유로운 질문과 답변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그동안 많은 AI 챗봇이 일정한 제약을 두고 운영되었지만, 누스 챗은 최소한의 경고만 적용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헤르메스 기반의 새로운 챗봇 기술
누스 리서치는 메타의 ‘라마 3.1’을 미세 조정하여 제작된 ‘헤르메스 3’ 모델을 누스 챗에 탑재했습니다. 이 모델은 이전에 기억 상실 증세를 보이는 독특한 대화 방식으로 이슈가 된 바 있으며, 그 독창성 덕분에 AI 커뮤니티 내에서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된 누스 챗은 이러한 헤르메스 모델의 장점을 살려 사용자가 더 빠르고 자유롭게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답변에서 언급된 출처로 이동할 수 있는 URL 링크 생성 기능도 갖추고 있어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 |
누스 챗 인터페이스 (사진=누스 리서치) |
사용자 맞춤형 조정 가능 - 오픈 가중치 시스템
기존의 주요 대형 언어 모델(LLM)들이 엄격한 가드레일을 적용해 맞춤형 조정이 어려운 것과 달리, 누스 챗은 사용자 맞춤형 조정을 강조합니다. 특히 이 챗봇은 오픈 가중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AI의 응답을 특정 요구에 맞게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화된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는 상식적 경고 시스템을 통해 일정 수준의 가이드라인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급 기능과 향후 발전 계획
누스 챗은 현재 이미지 분석, 파일 첨부, 코드 실행 등 고급 기능이 일부 부족하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누스 리서치는 이러한 기능을 향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추론 기능 강화, 웹 검색, 파일 분석 등 더 많은 기능을 개발하여 AI 챗봇의 유연성을 극대화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기능들이 추가되면 누스 챗은 제한 없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강력한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누스 챗, 차별화된 AI 경험 제공
누스 챗은 기존 AI 모델과의 차별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한층 자유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제한 없는 콘텐츠 생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경고 역할을 하는 시스템 프롬프트를 통해 유해 콘텐츠를 방지하고자 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성능이 강화된다면, 누스 챗은 AI 챗봇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요약: 누스 리서치가 출시한 ‘누스 챗’은 헤르메스 모델 기반의 오픈 가중치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자 맞춤형 응답을 제공하며, 최소한의 경고만 적용해 콘텐츠 제한을 크게 줄인 것이 특징입니다. 제한 없는 챗봇 사용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고급 기능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태그: #AI #누스챗 #헤르메스 #오픈소스 #챗봇 #콘텐츠제한 #누스
댓글 쓰기